티스토리 뷰
12월부터 1인 가구 청년들이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더 수월해질 예정입니다.
이 내용이 함께 엄청 많은 검색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도 청년희망적금이 만기되면서 전환되는 청년 도약 계좌에 가입하려고 계획 중이라면, 정확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희망적금 만기가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보는 한동안 더욱 높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정보를 살펴보는 것이 유용할 것입니다.
가입 계획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1. 청년도약계좌
문재인정부에서는 청년희망적금이라는 지원정책을 통해 청년들에게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습니다.
해당 정책은 적금에 정부 장려금 600만 원을 추가하여, 1년 차에는 12만 원, 2년 차에는 24만 원을 총 1,200만 원에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해당 정책의 신규 가입이 불가능해지면서 새로운 지원정책이 도입되었는데, 그것이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이 정책은 5년 동안 총 4,200만 원을 적금하면 최대 800만 원이 추가로 지급되어, 총 5,00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그러나 지원금 800만 원에 대한 오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해당 금액은 이자와 정부 기여금이 포함된 총액으로, 정부 기여금은 126~144만 원까지 차등으로 지급되며 나머지 587만원 ~ 640만원은 적금 이자로 정당하게 받을 수 있는 금액입니다. 이 점을 명확히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예금 특판이나 적금 특판의 이율이 높다고 생각될 수 있겠지만, 청년도약계좌는 기여금 이외에도 비과세 혜택이 존재하여 충분히 고려할 가치가 있는 사안입니다.
정확한 정보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가입 조건 및 만기 금액
먼저,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 정책은 목돈을 모으기 위한 것이지만, 가입 대상자가 아니라면 실제로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이름 그대로 청년을 위한 정책으로, 대한민국 청년의 나이 기준은 만 19세~34세 이하까지이며, 군 복무 이행 기간에 따라 최대 6년까지 연장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득에 따라 가입 여부가 결정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가입 기준은 개인 소득과 가구별 소득기준으로 구분되며, 7,500만원 이하의 개인소득, 4,800만원 이하의 종합소득, 가구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인 경우가 신청 대상입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1인 가구 : 42,007,939원
2인 가구 : 70,417,836원
3인 가구 : 90,605,542원
4인 가구 : 110,615,328원
5인 가구 : 130,129,524원
만약 현재 가입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2024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가입 시에는 소득 구간별로 정부 기여금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 부분도 사전에 확인이 필요합니다.
소득구간별 가입 시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급여액 2,400만 원 이하 : 최대 정부 기여금 144만 원, 최대 이자 소득 640만 원, 기여금 이자 14만 원
급여액 3,600만 원 이하 : 최대 정부 기여금 138만 원, 최대 이자 소득 587만 원, 기여금 이자 15만 원
급여액 4,800만 원 이하 : 최대 정부 기여금 132만 원, 최대 이자 소득 587만 원, 기여금 이자 14만 원
급여액 6,000만 원 이하 : 최대 정부 기여금 126만 원, 최대 이자 소득 587만 원, 기여금 이자 13만 원
그러나 6,000만 원~7,500만 원 소득 구간은 정부 기여금이 해당되지 않고,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적금 이자와 비교하여 만기 금액은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400만 원의 급여액 대상자가 70만 원을 기준으로 60개월 동안 적금에 가입한다면, 최종 만기 금액은 4,924만 원~5,000만 원 정도가 됩니다.
이를 이율로 감안하면 약 8.05%~8.86%의 수준의 금리를 적용받게 되는데, 이보다 높은 상품에 가입 가능하다면 청년 도약 계좌를 굳이 선택할 필요가 없습니다.
특판 상품 중에는 10% 이상의 높은 이율도 존재하겠지만, 이는 우대금리를 모두 적용받았을 때만 가능하며, 기본금리는 2.03.0% 수준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총평으로는 현재 특판의 상품은 12개월 기준이며, 2024년 기준에서도 8.86% 이상의 이율을 유지해야만 청년 도약 계좌보다 손해가 아닙니다.
따라서 개인 상황에 따라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3. 장점 / 단점
장점과 단점을 구분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청년 도약 계좌의 장점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만약 총 소득 급여액이 6,000만 원 이하라면, 정부 기여금과 기여금 이자가 총 139만 원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6년을 기준으로 1년에 약 23만 원의 정부 기여금이 지원되는 것입니다.
비교적으로, 청년희망적금의 정책 장려금은 1년 차에 12만 원, 2년 차에 24만 원으로 총 36만 원이지만, 청년 도약 계좌는 2년 차만 돼도 정부 기여금이 46만 원으로 12만 원 이상 높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상품에 비해 정부 기여금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6,000만 원 이하 대상자라면 차등 지급이 더 올라가기 때문에 최소 1년 평균 정부 기여금이 21만 원 이상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단점도 있습니다. 가장 큰 단점은 역시 기간입니다. 기존 상품은 2년 만기 상품이지만 중도해지율이 30%를 넘어선다고 합니다.
그리고 5년이라는 기간은 너무 길다고 생각될 수 있습니다.
중도해지자가 늘어날 것이며, 중도 해지 시 정부 기여금은 지급되지 않기 때문에 특판 적금보다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모르면 손해보는 경제정책정보
국가장학금 신청 기간 소득분위 및 신청방법
대한민국에서는 수많은 지원정책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이를 놓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한국장학재단에서 제공하는 장학지
info003.beardoctor100.com
퇴직금 지급기준 중간정산 수령방법 및 계산기
급한 목돈이 필요한 경우에는 어떤 대책을 마련해야 할까요? 일반적으로는 금융기관을 통한 대출이 흔한 방법입니다. 그러나 대출은 이자 부담이 따르는 단점이 있습니다. 목돈이 급하게 필요
info003.beardoctor100.com
연말정산 하는법 기간 및 환급금 조회
13번째 월급 시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연말정산 소득공제에 대한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공제 한도만큼 다 사용했는지, 얼마나 더 사용해야 하는지 판단해야 할 때입니다. 특히 신용카드, 체크
info003.beardoctor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