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청년도약계좌 전환어때요?

 

2024년 2월에는 청년희망적금 만기일이 다가옵니다.

 

이 정책은 준정부에서 주도했던 청년들의 목돈을 모으기 위한 지원 정책으로, 만기금액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있을 것입니다.

 

정부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새로운 정책에 맞게 운영하는 '청년도약계좌'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을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이 많을 것입니다.

 

현재 예금 금리가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만기금액을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는 신중한 판단이 필요할 것입니다.

 

 

 

1.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청년희망적금 만료일이 앞으로 2달 정도 남은 상황입니다. 간단하게 상품 내용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이 상품은 준정부에서 발표한 청년목돈지원 정책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받았던 만기 2년 상품으로,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 가능한 적금 + 정부 지원금 + 이자를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는 상품이었습니다.

 

1년 차와 2년 차로 나뉘어 매달 50만 원을 입금하면 총 1,200만 원을 예치하고, 해당 금액에 대한 이자와 저축 장려금을 합하여 최대 1,298만 원에서 1,311만 원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정책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혜택으로 지급되는 금액이 최대 111만 원이며, 적금으로 따지면 약 10.49%의 금리를 지급받게 되었습니다.

 

납입금별 정부 기여금 혜택 정리

 

1년 차 매월 50만 원 납부

 

적용금리 6% : 이자소득 55만 원, 5.5% 이자소득 50만 원, 5.0% 이자소득 46만 원

 

저축 장려금 12만 원

총 58만 원에서 67만 원 수익 발생

2년 차 매월 50만 원 납부

 

적용금리 6% : 이자소득 19만 원, 5.5% 이자소득 17만 원, 5.0% 이자소득 16만 원

 

저축 장려금 24만 원

총 40만 원에서 43만 원 수익 발생

 

만기 시 최종 금액 얼마인가요?

 

6.0% : 1,311만 원 혜택 소득 111만 원

5.5% : 1,304만 원 혜택 소득 104만 원

5.0% : 1,298만 원 혜택 소득 98만 원

 

당시 예/적금 이자가 3~4% 수준이었기 때문에 최종 9.31%~10.49% 적용은 높은 금리였습니다.

 

이 상품은 지원금 외에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각광받았습니다.

 

2024년 2월에 만기일이 다가오면 해당 목돈을 어떻게 활용할지를 고민할 때, 정부에서는 현재 정책에서 지원하는 '청년도약계좌'로 일시급 납입을 허용하여 납입 기간을 인정해 준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른 혜택에 대해 어떻게 작용할지 확인해보겠습니다.

 

 

 

2. 만기금액 청년도약계좌 전환

만기금액 청년도약계좌 전환

 

정부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을 청년도약계좌로 전환하게 되면 월 70만 원을 기준으로 18개월 동안 납부한 것으로 인정하며, 이로 인한 일시납입으로 발생하는 소득은 약 400만 원 이상으로 예상됩니다.

 

400만 원이라는 금액이 어떻게 계산되었을까요? 만기금액을 1260만 원으로 가정하고 18개월 동안의 일시 납입을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입니다.

 

이후 5년 동안 이자와 지원금으로 매월 70만 원씩 납부하면 약 407만 원의 추가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기여금 방식을 살펴보면, 총 급여 2,400만 원에서 6,000만 원까지는 정부 기여금이 기여금 한도 매칭 비율로 6.0%, 4.6%, 3.7%, 3.0%에 따라 계산되며, 2,400만 원 이하의 급여에는 2만 4천 원(40만 원 X 0.6%)의 기여금이 책정됩니다. 이는 70만 원까지만 적용되며, 나머지 금액은 비과세로만 적용됩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을 청년도약계좌로 전환하면 3년 이상 매월 70만 원씩 다시 적금에 넣어야 합니다. 비록 최대 금액이지만 비과세 적용을 위해서는 70만 원으로 맞추는 것이 유리합니다.

 

현재 예금/적금 특판 금리가 높더라도 비과세 부분을 감안하면 이미 1.5% 이상의 이득이 있는 셈이므로, 신중한 계산이 필요할 것입니다.

 

 

 

3. 금리 비교(청년 도약, 예금 특판)

금리 비교(청년 도약, 예금 특판)

 

예금으로 전환과 청년도 계좌 전환 중 어느 것이 유리한지 수치로만 비교해보겠습니다.

 

현재 예금 금리는 오늘 날짜 기준으로 새마을금고 연희 본점에서 제공하는 5.1% 금리로, 3년 동안 1300만 원을 예치했을 때 얼마나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1300만 원을 3년 예금에 예치할 경우 얼마의 이자 수익이 발생하나요?

 

1300만 원 예치 시 예금 이자: 2,144,314원

이자 과세: 15.4%, 330,224원

 

세후 총 수령액: 14,814,090원 / 이자 소득은 약 1,814,000원입니다.

 

안 그래도 적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해당 금액은 단순히 1,300만 원의 예치 기준이므로, 70만 원씩 36개월 동안 적금을 할 경우 추가 이자를 감안해보겠습니다.

 

70만 원 X 36개월: 원금 25,200,000원

이자 소득: 1,981,350원 / 이자 과세 305,128원

세후 총 수령액: 26,876,222원

 

위의 금액과 합치게 되면 14,814,090 + 26,876,222 = 41,690,312원이 되어, 49,400,000원에 비해 약 800만 원 정도 수익이 적습니다. 아무래도 정부 기여금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청년 도약 계좌에 적용되는 대상이라면, 예금과 적금으로 넣는 금액보다 훨씬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모르면 손해보는 꿀혜택정보

 

연차 개수 발생 기준, 연차수당 지급 계산법 정리

2023년 12월이 다가오면서 근로자들은 남아 있는 연차휴가를 소진하거나, 기업에서는 연차수당을 지급하는 시기가 다가왔습니다. 연차 촉진제를 활용하여 수당을 받기는 어렵지만, 손해 없이 휴

info003.beardoctor100.com

 

2024년 생계급여 대상자 조건,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 신청 방법

2017년 이후 7년 만에 생계급여의 기준이 늘어난다고 합니다. 이는 20대 핵심 과제 중 하나로 제기된 기초생활수급자 지원 확대의 결과로 보입니다. 이번 조치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누구에게 어

info003.beardoctor100.com

 

LH 행복주택 입주 조건, 신청 방법

증평 개나리아파트가 32년 만에 행복주택으로의 전환을 진행합니다. 이전에 방치된 상태에서 흉물로 지목되어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주목했습니다.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아파트가 새로운 모

info003.beardoctor100.com

 

 

 

반응형